환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를 최선으로 제공

백반증

백반증클리닉 Vitiligo Clinic
백반증은 원인불명으로 연령에 관계 없이 발생하는 탈색소질환으로서, 미용상 문제를 유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만성 피부병입니다.
본 건선클리닉에서는 백반증의 여러 임상 유형에 따른 맞춤형치료(약물요법, 자외선광요법, 레이저요법, 수술요법 등)를 시행하여 환자별 최적의 치료효과를 유도합니다. 그 동안 대학병원 백반증클리닉에서 쌓은 풍부한 임상 및 치료 경험을 근거하여 백반증 환자별 맞춤형 치료를 시도하는 백반증 전문 치료클리닉입니다.

백반증 전문경력

  • 전남대학교병원 피부과 백반증클리닉 운영
  • 대한백반증학회 회장 및 이사 역임: 2014-2016년
  • 백반증에 관한 전문 교과서 및 의학서적 발간

백반증(Vitiligo)

백반증(vitiligo)이란 후천적으로 멜라닌세포 소실에 의하여 피부나 모발이 탈색되는 색소이상 질환입니다. 인구의 약 1% 내외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서 어느 연령에서도 발생하지만 대개 10~30세 사이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며, 약 30%에서는 백반증의 가족력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백반증의 발생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하지 않지만, 유전, 면역, 환경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리라 추정하고 있습니다. 백반증은 미용적인 문제를 유발하지만 다행스럽게 전신 건강상태는 양호한 편입니다. 그러나 가끔 당뇨나 갑상샘기능저하 혹은 항진증과 같은 내과적 질환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백반증의 증상

백반증의 증상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하얀 탈색반이 한 개부터 다수로 갑자기 발생하는 것입니다. 탈색반의 경계가 뚜렷하며 경계부는 정상 또는 과다색소침착을 보이는 경향을 보입니다(사진). 백반증이 피부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돌출 부위인 손, 발, 무릎, 팔꿈치 등에서 잘 발생합니다. 입, 코, 눈 등과 같은 신체의 개구부에서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백반증을 일으키는 요인 중에서 외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가렵거나 아픔을 느끼는 주관 증상이 없지만, 드물게 백반증의 발생 초기나 악화 시기에 일시적으로 가려움을 느끼는 환자들도 있습니다. 백반증에 의하여 피부뿐만 아니라 모발이 하얗게 변색되는 백모증(poliosis)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머리카락, 눈썹, 체모 등에서 백모증이 발생하면 그 부위는 치료에 저항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백반증에 의한 탈색반
백반증에 의한 백모증

백반증의 여러 임상형

백반증 환자에 따라 증상에 차이가 있으며 여러 임상형에 따른 예후나 치료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 국소형 백반증: 일정 부위에 하나 또는 몇 개의 탈색반이 발생한 경우로서 치료에 비교적 잘 반응하는 경향을 보입니다(사진).
  • 분절형 백반증: 몸의 한쪽 부위나 피부절을 따라 하나 탈색반이 발생하는 경우로서 몸 전체로 퍼져나가는 위험성은 적습니다. 백모증을 동반한 경우가 흔하며, 이런 경우 치료에 저항하는 경향을 보입니다(사진). 이런 경우 표피이식술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점막형 백반증: 점막에 백색반이 병변이 발생하는 경우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습니다.
  • 말단안면형 백반증: 사지 말단부와 얼굴에 탈색반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로서 얼굴에서 발생한 백반증은 비교적 치료에 잘 반응하는 경향을 보입니다(사진).
  • 전신형 백반증: 신체의 어느 부위에나 널리 퍼져서 탈색반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얼굴이나 몸통이 비교적 치료에 잘 반응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사지 말단부는 치료에 저항하는 경향을 보입니다(사진).
  • 범발형 백반증: 전신의 80% 이상에 백반증이 발생한 경우로서, 가장 심한 증상을 보이며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임상형입니다.
국소형 백반증
분절형 백반증
말단안면형 백반증
전신형 백반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