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를 최선으로 제공

건선

건선클리닉 Psoriasis Clinic
건선은 일생 동안 재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만성 피부병으로서, 환자 개개인의 중증도나 건간상태에 따른 1:1 맞춤치료가 매우 중요한 질환입니다.
본 건선클리닉에서는 수 많은 건선 환자들을 치료하였던 풍부한 임상경험과 함께, 그 동안 대학병원 건선클리닉에서 시행 중인 여러 건선치료법(약물요법, 광요법 등)을 완비함으로써, 건선 환자 들에게 가장 안전하면서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전문치료를 목표로 합니다.

건선 전문경력

  • 전남대학교병원 피부과 건선클리닉 운영
  • 대한건선학회 평의원 및 감사 역임
  • 건선과 관련된 전문 교과서 및 의학서적 발간

건선(Psoriasis)

건선은 피부의 면역이 비정상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피부세포가 과도하게 증식함으로 발생하는 피부병입니다. 건선은 초기에는 특정 부위(예: 두피, 팔꿈치나 무릎 등 돌출 부위)에 잘 발생하다가 더 진행하면 피부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선으로 인하여 심각한 건강의 이상을 초래하지 않지만 피부 증상이 심한 경우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전신 건강은 대체적으로 양호하지만, 각질이 과도하게 탈락하는 증상으로 인하여 삶의 질이 떨어지고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다행스러운 점은 최근 들어 안전하면서 효과가 뛰어난 건선 치료법들이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전문 치료를 받으시면 정상인과 같이 건강을 잘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건선의 피부 증상

가장 흔한 건선의 임상형으로서, 생선 비늘과 같이 두꺼운 각질(인설)이 덥혀 있는 붉은 색의 피부 반점이 발생한 후 서로 합쳐지면서 비교적 크기가 큰 판을 형성하는 ‘판상건선’입니다(사진).
가장 흔하면서 전형적인 임상형인 ‘판상건선’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건선 임상형이 있습니다.
  • 물방울모양건선: 물방울 정도의 크기로 작은 반점들이 갑자기 다수 발생하는 임상형입니다(사진). 편도선염이나인후염을 앓고 난 후 원인 균의 독소에 의하여 건선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비교적 예후가 좋은 편이어서 완치가 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재발하면서 ‘판상건선’으로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 두피건선: 두피가 건선의 호발부위로서 초기에 두피에서 증상이 시작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두피와 안면부 경계부를 따라 두꺼운 각질이 덮여 있는 피부반점이 발생합니다(사진). 더 진행하면 두피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과도한 각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비듬과 같이 지루습진의 비듬으로 오진할 수 있습니다.
  • 국소농포건선: 손바닥과 발바닥 등에 노란 색의 고름과 같은 농포가 다수 발생하면서 피부 각질이 벗겨지는 임상형입니다(사진).
  • 전신농포건선: 노란 색의 농포가 전신에 걸쳐 발생하는 임상형입니다. 주로 건선을 전신 스테로이드제 로 조절하다가 약물을 끊는다든가 더 이상 약효가 없을 때 갑자가 악화되면서 발생하는 경우 발생하는 임상형입니다(사진). 관절통이나 오한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박탈건선: 건선이 아주 심한 경우 전신의 피부가 빨갛게 변색되면서 각질이 온 몸에서 탈락하는 임상형입니다(사진). 발열, 오한 등의 전신 증상이 동반됩니다.
판상건선

물방울모양건선반
두피건선
두피건선

국소농포건선
국소농포건선
전신농포건선

전신농포건선
박탈건선

피부 이외의 건선 증상

  • 손발톱건선: 건선 환자의 약 25% 이상에서 발생하는 손발톱(조갑)의 이상 소견으로서, 조갑이 거칠거나 두 꺼워짐, 조갑 표면이 옴폭 패임, 조갑이 조갑 바닥과 분리되는 등 다양한 이상 소견을 보일 수 있습니다(사진). 이런 경우 손발톱무좀으로 오진하고 잘못된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 건선관절염: 건선 환자의 약 5-10% 정도에서 발생하는데, 환자의 약 2/3 정도는 건선이 발병한 후 10년 이후에 관절염이 발생합니다. 손발톱건선 환자에서 더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침에 운동하기 전에 관절통이 가장 심하며 활동 후에는 호전되는 경향을 보여 ‘류마치스관절염’과 유사하지만 ‘류마티스 인자’는 음성을 보입니다.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관절이 부으면서 통증이 발생하며 방치하는 경우 관절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절에서 발생하는 ‘축관절염’이나 말초관절에서 발생하는 ‘말초관절염’이 모두 발생 가능합니다. 힘줄(인대)가 뼈에 부착하는 부위에서도 염증을 보여 ‘골부착부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아킬레스건에 침범할 경우에는 발뒷꿈치의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손발톱건선
건선관절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