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를 최선으로 제공

건선 FAQ

  • 아닙니다. 생물학제제는 고가의 약물로서 중증 건선 환자 중에서도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에 한하여 진료비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① 건선의 중증도: 건선 증상이 체표면의 10% 이상이거나, PASI 점수 10점 이상
      ② 사이클로스포린이나 메토트렉세이트를 12주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하여도 체표면의 10% 이상이거나, PASI 점수 10점 이상 호전되지 않는 경우

  • 그렇습니다. 건선은 피부뿐만 아니라 여러 관절에 염증을 유발하여 “건선관절염(psoriatic arthritis)”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선 환자 중 약 5-10%에서 건선관절염이 발생할 확률이 있으므로 건선을 진단받은 환자들은 초기부터 적극적인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건선 환자 중에서 건선관절염이 합병증으로 발생하였는가를 알 수 있는 간단한 자가 진단법으로서 ‘카스파기준(CASPAR’s criteria)’이 있습니다. 다음의 질문 사항을 합쳐서 3점 이상에 해당되는 환자는 “건선관절염”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표. CASPAR 기준
    염증성 관절증상(말초관절이나 척추 또는 부착부를 포함)이 존재하는 환자 중에서 다음 점수의 합이 3점 이상인 경우 양성으로 간주  

    항목 점수
    건선의 발병 유무 아래 3개 항목 중 하나의 점수만 계산
        현재 피부에 건선 증상이 있는 경우 2점
        과거에 건선의 병력이 있었던 경우 1점
        가족 중에 건선 환자가 있는 경우 1점
    건선 손발톱 이상여부 1점
        조갑이 움푹 패이거나, 박리되거나, 조갑 아래가 각질로 인해 과도하게 두꺼워진 경우 1점
    류마치스인자(RA factor) 음성 1점
    손발가락염(dactylitis)의 유무 1점
        하나 이상의 손·발가락이 부어 있는 경우
    방사선 검사에서 이상여부 1점
        손·발의 단순 방사선 사진 상, 관절 주위에 신생골의 생성
  • 건선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고, 당뇨병,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질환 등의 대사 이상에 의한 성인병이 더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건선이 과거에는 피부의 만성 염증질환이라고 간주하였으나, 최근에는 건선이 피부를 포함한 전신의 만성 염증질환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건선의 주요 치료법이 과거에는 자외선 광요법이나 연고제를 도포하는 국소요법이었으나., 현재는 전신 염증을 조절할 수 있는 약물요법이나 생물학제제와 같은 주사요법을 더욱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건선 환자는 다음 사항을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피부자극이나 상처를 피하세요!
    여러 형태의 피부 손상이 건선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건선 환자에서 상처가 나거나 수술 후 꿰맨 자리에서 건선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거친 수건이나 때 타올로 피부 각질을 과도하게 벗겨내는 경우에도 건선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건조한 피부는 건선을 악화시키는 한 요인이 되며, 대체적으로 겨울철에 건선이 더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피부가 건조해지기 쉬운 환절기나 겨울철에는 보습제를 사용하여 피부 건조증이 발생하도록 피부 관리를 잘 하시길 바랍니다. 

    √ 과도한 스트레스를 피하세요!
    정신적 스트레스나 육체적 과로 등은 건선의 악화나 재발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술, 담배는 피하세요!
    음주가 건선을 비롯한 피부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흡연도 악화시킨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또한 술, 담배가 성인병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건선 환자에서 발생하기 쉬운 대사이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술, 담배를 멀리 하시길 바랍니다.  

    √ 감기나 편도선염 등 감염을 피하세요!
    건선의 발생 원인이 다양하며 그 중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건선의 임상형 중 ‘물발울건선’의 경우 감기나 편도선염을 유발하는 세균의 독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TOP